오늘은 13월의 월급 이라 불리는 직장인 연말 정산에 대해 알아 볼게요!
직장인들에게는 정말 관심이 많고, 알면서도 모르겠고 모르면서도 알겠는.. 그런 주제인데요!
주변인들 보면 연말정산? 그거 무조건 돌려 받는거 아니야? 라고 하더라구요.. 저런...
우선 기본에 대한 개념을 아셔야겠죠?
연말정산 이란?
소득공제 ? 세액공제 ?
과제표준 , 기본세율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보면서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소득공제 적용
예를들어 연봉이 6천만원인 직장인 철수는 기본세율이 24% 입니다.
그런데 만약 철수가 위에서 설명한 본인의 소득을 2천만원 공제 받게 되면 4천만원 소득이 되므로 철수의 기본세율은 15%로 낮아 지게됩니다!
★ 세액공제 적용
소득공제를 받아 연봉이 4천만원인 철수의 세금을 계산해보면 84만원+ (4,000만원 - 1,400만원) X 15% = 4,740,000원
이나, 세액공제는 세금에서 직접 차감하므로, 세액공제 기부금 공제로 50만원 공제를 받게되면
4,740,000 - 500,000 = 4,240,000원 이 됩니다!
연말 정산 절차
위에 설명한 것처럼 총 급여에서 소득공제를 진행하고, 그 금액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해서 나온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까지 하면 실제로 내야하는 세금이 나오게 됩니다!
1. 총급여에서 소득공제 진행 절차
2. 소득공제된 급여에서 세액공제하는 절차
자, 1 2번 절차를 모두 하게 되면 이제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이 세액이 만약 우리가 냈던 세금보다 적으면 추가 납부
많으면 환급 받게 되는 겁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기본적인 연말정산의 의미와 소득공제, 세액공제 그리고 절차에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꼭 기본개념을 아시고 연말정산을 진행하세요 !
[2025년 근로,자녀 장려금]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 방법 ! (2) | 2025.03.07 |
---|---|
[연말 정산 바로 알기 #3] 꿀팁 ! 손택스로 연말 정산 환급액 조회 방법 (2) | 2025.01.17 |
[연말정산 바로 알기 #2] 2025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0) | 2025.01.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