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말정산 바로 알기 #1] 연말정산 개념, 소득공제&세액공제 ? 연말정산 절차

세무

by 부린이 대장 2025. 1. 17. 11:15

본문

 

오늘은 13월의 월급  이라 불리는 직장인 연말 정산에 대해 알아 볼게요!
직장인들에게는 정말 관심이 많고, 알면서도 모르겠고 모르면서도 알겠는.. 그런 주제인데요!

주변인들 보면 연말정산? 그거 무조건 돌려 받는거 아니야? 라고 하더라구요.. 저런... 

 

우선 기본에 대한 개념을 아셔야겠죠?

 

연말정산 이란?
  • 근로자가 1년 동안 납부한 근로소득세와 소비액을 확인하여 미리 걷은 근로소득세에 대한 환급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

  • 월급 지급 시 원천징수를 하며, 연말정산 시 정확하게 계산하여 세금을 더 납부했다면 환급을,
    덜 납부했다면 더 납부 하게 됩니다
     
    낸 세금 > 내야할 세금 = 환급
    낸 세금 < 내야할 세금 = 추가납부

  • 매월 월급 지급시 세금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정해진 소득구간에 따라 일정 세율을
    적용한 세금을 공제하고 월급을 주는 것이 바로 원천징수이며, 이를 1년에 1번 실제 세금으로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연말 정산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소득공제 ? 세액공제 ? 
  • 소득공제 : 세금 계산시 기준이 되는 소득 자체를 줄여 과세표준을 낮추는 효과 
    ex) 인적공제, 주택자금 공제, 교육비 공제 등 
    우리나라는 소득에 따라 세율이 다른데요! 당연히 소득이 낮을 수록 세금을 조금 내겠죠!?
    나의 소득을 낮춰서 세율을 낮추는것을 소득공제라고 합니다!

  • 세액공제 :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하여 세금자체를 줄여주는 효과
    ex) 연금저축, 기부금, 자녀세액공제 등
    소득에 따라 결정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해주는 것입니다!

    ★ 소득공제, 세액공제 서류들을 꼭 잘챙기셔서 세금을 최대한 덜내고 환급받을 수있도록 하는게 좋겠죠?  

 

과제표준 , 기본세율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보면서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출처: 국세청

 

★ 소득공제 적용
예를들어 연봉이 6천만원인 직장인 철수는 기본세율이 24% 입니다. 
그런데 만약 철수가 위에서 설명한 본인의 소득을 2천만원 공제 받게 되면 4천만원 소득이 되므로 철수의 기본세율은 15%로 낮아 지게됩니다!

 

★ 세액공제 적용
소득공제를 받아 연봉이 4천만원인 철수의 세금을 계산해보면  84만원+ (4,000만원 - 1,400만원) X 15% = 4,740,000원 
이나, 세액공제는 세금에서 직접 차감하므로, 세액공제 기부금 공제로 50만원 공제를 받게되면 
4,740,000 - 500,000 = 4,240,000원 이 됩니다!

 

연말 정산 절차


 위에 설명한 것처럼 총 급여에서 소득공제를 진행하고, 그 금액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해서 나온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까지 하면 실제로 내야하는 세금이 나오게 됩니다!

 


 1. 총급여에서 소득공제 진행 절차

총급여에서 소득공제를 하는 절차


  2. 소득공제된 급여에서 세액공제하는 절차



자, 1 2번 절차를 모두 하게 되면 이제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이 세액이 만약 우리가 냈던 세금보다 적으면 추가 납부


많으면 환급 받게 되는 겁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기본적인 연말정산의 의미와 소득공제, 세액공제 그리고 절차에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꼭 기본개념을 아시고 연말정산을 진행하세요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